생태발자국
인류의 생태발자국*을 줄이기 위한 노력을 기울이고 있습니다. 그 중에서도 가장 시급하게 다뤄져야 할 6가지 부문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생태발자국이란?
일반적인 기술 및 자원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인간의 활동에 있어 1)필요한 모든 자원을 생산하고, 2)이의 폐기물을 흡수하는 데 필요한 생물생산력이 있는 토지 또는 수역의 면적을 나타내는 척도
우리는 이러한 부문에서 인류의 생태발자국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방식의 곡물 재배, 어장산림습지 관리, 에너지 생산, 폐기물 처리 방안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시장의 변화를 유도하는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기업과 공급망에서 이러한 주요 원자재(commodities)를 구입하여 처리하는 방식과 구매처의 원자재 확보 과정에서 개선된 기준을 따르고 더 나은 생산 방식으로 나아가도록 참여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모든 이가 자연자원에 대한 공정한 접근성과 이용권을 갖고, 인류와 자연을 지탱하는 지구의 한계 내에서 살아가기 위함입니다.
Learn More >>
*생태발자국이란?
일반적인 기술 및 자원관리 방식을 이용하여 인간의 활동에 있어 1)필요한 모든 자원을 생산하고, 2)이의 폐기물을 흡수하는 데 필요한 생물생산력이 있는 토지 또는 수역의 면적을 나타내는 척도

- 기후변화, 에너지, 탄소 : 에너지 이용, 산림 손실의 영향, 기후변화에 대한 새로운 국제 정책의 필요성
- 지속가능한 도시 : 도시의 지속가능한 발전으로의 전환
- 농업 : 식량, 섬유, 목초, 양식, 바이오연료
- 어업 : 남획, 불법·비보고·비규제(IUU) 어업, 부획, 관리 및 조달 방식
- 임업 : 목재, 종이, 펄프, 연료
- 물 : 댐, 관개, 식수 공급
우리는 이러한 부문에서 인류의 생태발자국을 줄이기 위해 새로운 방식의 곡물 재배, 어장산림습지 관리, 에너지 생산, 폐기물 처리 방안을 연구하고 있습니다.
아울러 시장의 변화를 유도하는 여러 방안을 모색하고 있습니다. 기업과 공급망에서 이러한 주요 원자재(commodities)를 구입하여 처리하는 방식과 구매처의 원자재 확보 과정에서 개선된 기준을 따르고 더 나은 생산 방식으로 나아가도록 참여를 유도하고 있습니다.
모든 이가 자연자원에 대한 공정한 접근성과 이용권을 갖고, 인류와 자연을 지탱하는 지구의 한계 내에서 살아가기 위함입니다.
목표 2020
인류의 생태발자국 중 특히 다음 부문에 주력하여 현재의 생태발자국 크기를 2000년도 수준으로 감축- 에너지 및 탄소
- 원자재(곡물, 육류, 어류, 목재)
- 물
목표 2050
인류의 생태발자국이 지구의 생태용량(인류와 자연을 지속가능하게 지탱할 수 있는 지구의 한계) 내로 감축Learn More >>